
국민연금 더 내고 더 받자 공론화위 1안, 21대 국회 합의 무산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2주간의 토론 끝에 시민 대표들은 '더 내고 더 받는 방안'을 최종 선택했습니다. 국민연금 재정 고갈 우려와 한국의 높은 노인빈곤율을 함께 고민한 결과입니다. 시민들이 선택한 방안이 국회에서 받아들여진다면,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26년 만에 9%에서 13%로 4% 포인트 오릅니다. ◆ 국민연금 보험료율 개혁 방안 공론화(국회 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원회) ▶ 1안*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도 40%(2028년 기준)에서 50%로 높이는 방안(1안)이, 시민대표단 492명 중 56.0%의 선택을 받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고 발표 ▶ 2안* 보험료율만 12%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유..

정부, 무대책에 막막한 종이 빨대 업체, 환경부는 대출 얘기만 국내 환경부가 친환경적이라고 정한 빨대 소재는 다회용이며 친환경 소재입니다. 종이, 쌀, 갈대, 대나무로 만들면 친환경, 유리와 스테인리스는 다회용 소재로 분류됩니다. 이중 종이 빨대에 대한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 무엇보다 음료의 맛을 해친다는 것이 가장 크고, 두 번째는 방수 코팅이라 재활용도 못 한다고 하던데 이걸 대체 왜 쓰냐입니다. 종이 빨대의 색깔은 왜 다르며, 재활용도 안된다는 데 과연 어떤 효과가 있는 건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 종이 빨대 사용은 친환경이 맞을까요? 2020년에 미국 환경보건국이 발표한 '폐기물 저감 모델'에 의하면,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의 생산이 약 5.5배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고 발표합니다..

해충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5월, 식품취급시설 관리는? 점점 더워지는 날씨 속 해충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5월입니다. 이때쯤에는 식품 취급 시설에 자꾸만 불청객이 찾아오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해충의 발생부터 실내 침입까지 모두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어떤 게 있으며, 기온이 오르면서 해충의 활동도 본격적으로 활발해지는 때에, 식품 취급 시설에서는 어떤 관리가 필요할까요? 지금부터 이와 관련된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해충 침입 차단 및 이물 주의보 5월부터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면서 해충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합니다. 식품 내 해충 이물 분석 의뢰 데이터(2021~2023)에 따르면, 해충 이물 의뢰 건수 또한 5월부터 급격히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해충의 활동성 ..

"이원록! 너의 수감 번호는 264번이다", "그래! 내 호를 이육사로 해야겠어" 1927년 이원록이 독립운동을 했다는 죄로 체포되어 갇히었을 때, 죄수 번호가 264번이었습니다. 이후 시인으로서 활동한 그는 자신의 이름인 이원록 대신 이육사(264)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독립운동을 하던 이육사가 왜 시인이 되었을까요? 그래서 궁금해서 지금부터 이육사에 대한 삶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육사의 어린 시절 이육사는 1904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낙동강 줄기에 자리 잡은 그의 고향은 7월이면 동네 어귀마다 청포도가 탐스럽게 익어가는 마을이었습니다. 어린 시절 이육사의 이름은 이원록이었습니다. 그는 할아버지로부터 한학을 배웠으며, 그리고 할아버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