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의 여러 가지 조치 현황 정부는 가장 핵심적인 국정과제 중 하나로 2022년부터 꾸준히 의료 개혁을 준비해 왔습니다. 의료계와 130번 넘게 만나 의견을 듣고, 전국 의대의 교육 여건을 조사하고, 합리적인 제언을 종합해 의료 개혁 4대 과제로 압축했습니다. 무너지는 지역 필수 의료를 살려 모든 국민이 안심하고 언제 어디서나 최고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① 의료 인력 확충, ② 지역 의료 강화, ③ 의료사고 안전망, ④ 공정 보상 등 4대 의료 개혁 과제로 구성된 필수 의료 패키지를 추진합니다. 다시 말해, 우리 의료계가 전공의 의존에서 벗어나 전문의 중심으로 정상화되도록 돕는 방안, 전공의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방안, 의료인들이 의료소송 불안감에 시달리지 않고 진..

지역의료 현실과 전망, 무너지는 지역의료 체계의 모든 것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이유 중 하나로, 필수 의료와 더불어 무너지는 지역의료를 살려야 한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정부가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의사 단체들과 의대생들은 은 설 연휴가 끝나고 파업에 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의사 수는 부족하고, 의사가 필요한 곳은 많은데, 의대 정원은 2006년에 3,058명으로 정한 뒤 지금까지 쭉 그대로였습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 때도 의사를 늘리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고요. ◆ 지역의료 체계 현황 지역에 의사가 없어도 너무 없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서울은 약 3명인데, 경북은 약 1명입니다..

중년 여성 간암 발생 원인은 어릴 때 간염 예방접종 미실시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여성 간암 신규환자는 3,924명이나 되는데, 매년 4,000명 정도의 신규환자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술을 많이 마시는 남성 환자가 1만 1,207명이지만 여성도 적지 않는데 왜 여성 환자가 많을까요? 특히 술을 전혀 안 마시는 여성은 방심하고 있다가, 간접흡연 등으로 발병하는 간암을 늦게 발견해 사망률이 높아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간암, 특히 여성 간암의 발병 원인과 왜 발병률이 높은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 ☞ ◆ 여성 간암 환자 50~60대가 절반, 간암의 낮은 생존율 1) 국가암등록통계에 의하면, 2021년 여성 간암 환자는..

장시간 고된 노동,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뇌심혈관질환, 경비원이나 택시, 버스 운전기사, 택배기사처럼 야간작업이나 장시간 근무, 고령 등으로 뇌심혈관질환에 취약한 노동자들에게, 정부가 심층 건강진단 비용의 80%를 지원합니다. ◆ 심뇌혈관질환이란? 심뇌혈관질환은 심장, 뇌 및 혈관계에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지칭하는 용어로, 허혈성 심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혈관질환(뇌졸중), 고혈압, 심부전, 말초혈관질환 등을 포함합니다. * 단일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전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의 노령화 및 생활양식의 변화로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우리나라의 심뇌혈관질환의 선행 요인으로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그 외에도 당뇨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