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역의료 현실과 전망, 무너지는 지역의료 체계의 모든 것
정부는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는 이유 중 하나로, 필수 의료와 더불어 무너지는 지역의료를 살려야 한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정부가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고 했습니다. 이에 의사 단체들과 의대생들은 은 설 연휴가 끝나고 파업에 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의사 수는 부족하고, 의사가 필요한 곳은 많은데, 의대 정원은 2006년에 3,058명으로 정한 뒤 지금까지 쭉 그대로였습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 때도 의사를 늘리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고요.
◆ 지역의료 체계 현황
지역에 의사가 없어도 너무 없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서울은 약 3명인데, 경북은 약 1명입니다.
결국 서울과 지역 간 의사 수 차이는 계속 벌어지고 있으며, 병원이 없는 지역에 사는 환자가 먼 곳까지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하는 실정입니다.
◆ 지역의료 체계의 문제점
▶ 지역 인구 감소
지역 인구가 점점 줄고 있는데, 환자가 꾸준히 오지 않는 지역에서는 병원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산부인과를 살펴보면, 운영 비용 등을 따졌을 때 분만실을 운영하려면 1년에 500건 정도의 분만이 있어야 하는데, 전국 분만실 457곳 중 500건 이상 분만이 이뤄지는 곳은 단 166곳이라고 합니다.
▶ 지역 의사 수 감소
지역 인구가 감소하다 보니 지역에서 일하겠다는 의사도 줄고 있습니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1.77명에서 2.18명으로 늘었는데, 의사가 가장 많은 서울과 가장 적은 경북의 차이는 1.42명에서 2.08명으로 더 벌어졌다고 합니다.
▶ 지역 종합병원 수 감소
지역의 종합병원도 하나둘씩 문을 닫고 있는데, 최근엔 적자 때문에 10만 명 넘게 사는 경남 양산의 종합병원과 경북 성주의 응급실이 폐쇄되었습니다. 또한 최소 30분 거리에 응급실이 없는 지역은, 2022년 기준 전국 시군구의 약 40%라고 합니다.
향후 지역의료 더 위태로워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하는 걱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역의료에 가야 할 인력이 다른 데로 빠질 수도 있다는 것인데, 이는 종합병원들이 수도권에 분원을 짓고 있기 때문입니다.
◆ 필수 분야 의사 부족
필수 의료 분야인 '내외산소(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보다,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피안성(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에 의사들이 몰리고 있다는 겁니다.
이 때문에 의사가 부족해 환자가 여러 응급실을 돌아다녀야 하는 '응급실 뺑뺑이'가 반복되고, 대기 시간이 긴 소아과 진료를 보기 위해 아침 일찍 '소아과 오픈런'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의대 정원을 2,000명 정도 늘리고, 2035년까지 의사 1만 명을 늘리겠다고 했습니다.
◆ 빅5 병원 분원 개설로 늘어나는 수도권 병원
연세 세브란스, 서울대병원 등 '빅5 병원'을 포함한 종합병원들이 수도권 곳곳에 분원을 짓고 있습니다. 2028년 이후엔 수도권에 약 11개의 종합병원이 지어져, 최소 6,600개의 병상이 더 생기는데, 여기에만 약 3,000명의 의사가 더 필요하다고 합니다.
수도권 종합병원으로 의사, 환자가 쏠리는 현상이 더 심해질 거라는 걱정이 나옵니다. 일부에서는 "의대 정원 늘려서 종합병원 인력 채우려는 것 아니냐?"하는 말도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 정부의 지역 인력을 확보계획
▶ 계약형 지역 필수의사제 도입
의대, 지방자치단체, 의대생이 계약을 맺어 장학금, 수련비용을 지원하는 대신,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일하게 하는 '계약형 지역 필수의사제'를 도입하겠다고 했습니다.
▶ 지역인재전형 선발제 도입
지역 의대가 그 지역의 중·고등학교를 다닌 학생을 뽑는(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율도, 기존 40%에서 60% 이상으로 올릴 거라고 했습니다.
▶ 지역의료 발전 기금 운용
필수 의료가 취약한 지역에 더 높은 의료수가를 적용하는 '지역 수가'도 도입할 거라고 했습니다. 필수 의료의 인력을 늘리고, 시설·장비 등 인프라를 지원할 '지역의료 발전 기금'을 만드는 것도 검토한다고 했습니다.
◆ 정부 정책에 대한 반응
▶ 실효성 효과 문제
계약형 지역 필수의사제는 강제성이 없어서 의사를 지역에 묶어두기 어려울 거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입학 정원의 60% 이상을 지역 인재로 뽑으려고 계획한 의대는 7곳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지역 수가를 얼마나 늘릴지, 기금을 어떤 규모로 마련할지도 아직 정해지지도 않았고요.
▶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 재추진
시민단체들은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를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을 합니다. 의대 정원만 늘려서는 의사들이 지역의료 대신 돈을 더 잘 벌 수 있는 분야(예: 피부·미용)로 쏠리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 공공의대
- 공공의료기관에서 일할 의사를 기르려고 국가가 운영하는 대학으로, 문재인 정부는 공공의대를 졸업하면 10년 동안 공공병원에서 의무복무 하는 방법을 제안
* 지역의사제
- 비수도권 의대생의 일부를 '지역의사 전형'으로 뽑고, 졸업 후 일정 기간 지역 병원에서 일하게 하는 제도
'질환.건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짧고 쉬운 의료 개혁 핵심 정리 Q & A (0) | 2024.03.24 |
---|---|
2022~2024년 의료 개혁 관련 정부 정책 (0) | 2024.03.21 |
중년여성간암 너무 많아, 간암환자 중 50~60대 절반 (0) | 2024.03.07 |
뇌심혈관 고위험 노동자 심층건강진단비 지원 (4) | 2024.03.04 |
비상진료 기간 문 여는 병 의원 약국 정보 (0) | 202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