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형 소비'로 예상 물가가 오르는 속도를 월급 상승률이 따라잡지 못해, 직장인들의 '실질 구매력'이 줄어드는 중에 있습니다. 지난 2023년, 평균 근로소득(월급)은 한 해 2.8% 증가한 4,332만 원을 기록했는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3.6% 상승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들어 더 심화하고 있습니다. 소득 증가세와 물가 오름세 사이의 격차는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크다고 합니다. ◆ 물가 상승 못 따라간 근로소득 근로소득의 증가율이 낮아지고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하락세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지난 30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 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장기 투자 인기 상품에 무슨 일이? 최근 주식 시장에서 ETF(상장지수펀드)로 장기 투자하는 사람들이 한숨을 연이어 내쉬고 있습니다. 정부가 해외 주식형 TR ETF를 금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TR은 'Total Return'의 약자로, 수익을 한꺼번에 돌려준다는 뜻입니다. 배당금과 이자를 투자자들에게 나눠주는 일반적인 방식과 다르게, 이를 자동으로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노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만 원을 투자해 5%의 배당금을 받았다면, 배당금인 5,000원이 자동으로 재투자 돼 10만 원 + 5,000원 = 10만 5,000원으로 운용되는 것입니다. ◆ TR ETF의 장점, 절세와 복리 1. 사실상 과세 이연 : 원래 ETF나 주식에 투자하여 이자 소득이 발생하거나 배당금..

편견 다 깨부수는 편의점 간편식 이제 편의점은 더 이상 동네 슈퍼마켓과 경쟁하지 않습니다.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편의점 매출이 백화점 매출을 뛰어넘었다는 집계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편의점은 유통산업의 중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에 편의점이 들어선 지 35년 만에 일어난 일인데,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편의점은 어떻게 그 입지와 존재감을 계속해서 키울 수 있었을까요? ◆ "명품부터 붕어빵까지 안 파는 게 없더니" 편의점, 백화점 매출 제쳤다. 지난해 국내 편의점 연간 매출이 백화점을 제쳤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편의점이 문을 연 지 35년 만에 처음으로 편의점이 유통업계 왕좌를 차지한 것입니다. 지난 1월 10일 주요 유통업체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편의점 매출이..

천장 뚫린 금값, 돌 반지 60만 원 이상 폭등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보편 관세를 무기로 '무역 전쟁'의 문을 열면서,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증시가 출렁이고,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상승세가 꺾였는데, 금 가격은 치솟는 중입니다. 코스피, 코스닥이 모두 가라앉은 지난 3일, KRX 금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1g당 138,0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직전 거래일 대비 3.60% 오른 가격으로, 23개월 만에 최대 일일 상승 폭이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간 관세 부과 30일 유예 합의가 이뤄진 4일에도 금값은 올라, 1g당 141,350원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최근 시세(KRX 전 종목 시세)로 순금 한 돈(3.75g) 돌 반지 가격은 50만 원을 훌쩍 넘긴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