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K-뷰티 인기 이유와 전망

쏭강 누리집 2025. 4. 30. 10:46
반응형

관세 전쟁에도 여전히 뜨거운 K-뷰티 열풍

 

 

요즘 미·중 관세 전쟁으로 전 세계 수출길이 꽁꽁 얼어붙었잖아요. 때문에 우리나라 수출액도 쪼그라들며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국내 뷰티 기업만큼은 분위기가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에서는 한국산 선크림을 사재기하는 일이 벌어지는 등 K-뷰티 제품이 인기를 끌며 존재감을 뿜뿜 드러내고 있다고 합니다.

 

◆ 2025년 국내 화장품 시장 현황

 

K-뷰티 열풍 속 인도 뷰티시장 개척 나선 코트라

2025년 국내 화장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예측에 따르면, 2025년 화장품 수출액은 113억 7,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스킨케어 시장이 강세를 보이며, 2025년에는 1,8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비자들은 효능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제품을 선호하며,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가 주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K-뷰티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미국 시장에서는 한국 화장품이 수입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프랑스를 제쳤습니다.

 

뉴욕에서 K-뷰티 열풍 주도, K뷰티 부스트 인 뉴욕 성료

국내 시장에서는 대형 브랜드보다 중소형 브랜드와 ODM 업체가 강세를 보이며, 2023년 이후 대형사 주가는 35% 하락, 중소형사는 288% 상승, ODM사는 218% 상승하는 등 시장 구조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수출액은 101억 7,800만 달러(약 14조 7,500억 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1년 전보다 20% 넘게 성장한 것인데, 특히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절대 강자인 프랑스를 꺾고 우리나라가 1등으로 올라설 정도라고 합니다. 덕분에 우리나라 화장품 기업들도 매년 역대급 실적을 새로 쓰고 있습니다.

 

▶ 국내 화장품 인기인 이유?

 

글로벌 여심 사로잡은 한국 화장품의 매력

국내 화장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혁신적인 성분과 기술이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국 화장품은 달팽이 점액, 인삼, 벌독, 발효 추출물 등 독특한 성분을 활용하며, 쿠션 파운데이션, 시트 마스크 같은 획기적인 제품을 개발해 세계적인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갑니다. 동일한 성분을 사용한 해외 명품 브랜드와 비교해도 한국 화장품은 훨씬 저렴한 가격에 제공됩니다.

 

K-팝과 K-드라마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한류 스타들이 사용하는 제품이 자연스럽게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셀럽들의 뷰티 루틴을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 화장품이 글로벌 시장에 인기가 있는 이유는 K-팝과 K-드라마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강력한 디지털 마케팅이 한국 화장품의 인기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SNS, 인플루언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글로벌 소비자들과 연결되는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습니다

 

 

탄탄한 제품력과 저렴한 가격, 소셜미디어에서 트렌드 주도권을 잡은 게 K-뷰티 성장세를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① 탄탄한 No.1 제품력 : 세계적으로 뛰어난 제품력이 비결 중 하나로 꼽힙니다. 우리나라에는 2000년대 초반부터 30년 가까이 여러 기업의 제품 생산을 도맡아 실력을 쌓아온 제조자개발생산(ODM)·주문자위탁생산(OEM) 기업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명품 기업들도 한국의 ODM·OEM 제조사에 맡길 정도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 화장품의 인기비결은  탄탄한 No.1 제품력

② 저렴한 가격 : 그러면서도 가격은 저렴한데, 한국 화장품 가격은 프랑스 명품 화장품과 비교하면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이에 가성비 화장품으로 1020세대의 젊은 소비층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입니다.

 

③ SNS로 존재감 드러낸 인디 브랜드 : 틱톡 등 SNS 바이럴 마케팅을 앞세워 존재감을 드러낸 인디 브랜드들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

 

아누아, 넘버즈인, 메디큐브 등이 대표적인데, 인디 브랜드들이 인플루언서들과 손잡고 눈길을 끄는 영상을 만들며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넷플릭스 등으로 확산된 K-콘텐츠의 한류 열풍이 한국산 화장품 인기의 숨은 공신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④ 등에 업은 K-콘텐츠 인기 : 넷플릭스 등으로 확산된 K-콘텐츠의 한류 열풍이 한국산 화장품 인기의 숨은 공신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K-콘텐츠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 커지면서 함께 노출되는 K-뷰티 제품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피부 유형과 니즈에 맞춘 맞춤형 제품 등 현지 시장에 맞는 제품을 내놓는 밀착 전략도 성과가 있었다는 분석입니다.

 

▶ 이제 걱정이 없겠는데?

 

트럼프 대통령,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 등 한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가 K-뷰티 업계에도 고민거리

그렇지는 않습니다. K-뷰티 업계에도 고민거리가 있는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했기 때문입니다.

 

오는 7월까지는 상호 관세 시행을 유예하면서 당장의 위기는 넘겼지만, 실제로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걱정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에 기업들도 분위기를 살피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은?

 

중국 시장 위축에도 작년 한국 화장품 수출액 역대 2위

트럼프의 '관세 충격'에도 장기적으로는 K-뷰티의 미래를 밝게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지금 분위기대로면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찍으며 11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최근 주춤했던 중국 수출액이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점도 기대를 키우고 있습니다. 한한령(한류 제한령)이 해제될 경우, 중국 내 K-뷰티 수요가 다시 살아나면 한 차례 더 K-뷰티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고 합니다.

 

중국 내 K-뷰티 수요가 다시 살아나면 한 차례 더 K-뷰티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