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상체중보다는 약간 통통한 게 골절 위험도 감소에 도움 중년엔 약간 살이 붙는 게 더 좋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뼈 부러지는 골절 위험에 관한 한 이런 말이 맞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중년에 살이 약간 빠져 정상 체중이 된 사람은 살이 약간 쪄 과체중이 된 사람에 비해, 65세 이후 뼈가 부러질 위험이 훨씬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미국 보스턴대 보건대학원, 하버드대 의대 공동 연구팀은, '미국 프래밍햄 심장 연구' 참가자 1,772명의 체질량지수(BMI)* 변화 추세를 조사 분석하고, 평균 약 17년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 체질량지수(BMI)는 몸무게와 키를 이용하여 체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지수- 비..

중등증·경증 환자와 암 환자는 집 근처 종합병원 진료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 환자 진료에 집중하도록, 진료역량이 높은 종합병원 190여 개소를 진료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환자들이 진료를 포기하지 않도록 암 진료실적이 많고, 평가가 우수한 병원을 선정해 암 환자 진료 협력병원으로 지정·운영하고 있습니다. ▶ 병의원·약국 비상 진료 검색- 비상 진료 병의원, 약국 안내는 129와 119에서도 확인 가능 - 비상 진료 병의원 정보는 관할보건소에서 제출한 자료 관련 문의 사항은 관할보건소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응급 의료 포털 누리집(E-GEN 통합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시도 별, 암 종류별 진료 협력병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비상 진료 병의원 검색-일..

"앗 잘못 보냈다. 잘못 보낸 내 돈" 돌려받기 인터넷, 모바일뱅킹이 편리해지고, 모바일을 통한 간편 송금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착오 송금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금융위원회와 예금보험공사는 착오 송금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들을 점검하였습니다. 따라서 계좌번호 잘못 입력, 최근 이체 목록에서 잘못 선택 등 스마트폰으로 인한 송금 실수를 줄여드리겠습니다. 또한 모바일뱅킹 및 간편 송금 관련 앱의 착오 송금 예방 기능 강화가 필요합니다. ◆ 착오 송금 예방 기능 모범사례 ① 자주 쓰는 계좌 등 계좌정보 목록화 ② 자주 사용하는 금액, 버튼 화 ③ 입력한 계좌의 예금주명·금액 확인창 ④ 이체 직전, 이체 정보 재 확인창 ⑤ 착오 송금 예방을 위한 경고 착오 송금..

요새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조리해 쉽게 먹을 수 있는 간편 식품이 많아 나오고 있습니다. 가게에서 간단히 사서 짧은 시간에 한 상 가득 차리고 싶지만, 전자레인지의 유해성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꺼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전통적인 불 대신 전자기파 사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인데, 레인지는 정말 건강에 위험할까요? 전자레인지에 대한 몇 가지 오해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 영양소가 많이 파괴된다? 조리하는 과정에서 영양소 파괴는 어느 정도 감수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채소에 따라 익히는 요리법이 많은 영양소 손실로 직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자레인지라고 해서 불에 비해 영양소 손실이 특별히 많은 건 아니며, 영양소 파괴는 조리 시간과 열의 세기에 비례해 커진다고 합니다. 오히려 전자레인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