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으로 생활한다면, '카드 쪼개기'가 필수인 이유 오늘은 '카드 쪼개기'로 혜택 챙기고 소득공제 더 받는 팁을 알려드릴게요. 최근 꼭 필요한 소비만 하겠다는 요노(YONO: You Only Need One)족이 대세로 떠오르며,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체크카드 1장만 쓰는 것, 과연 좋은 재테크 방법일까요? 독자 여러분에게 재테크의 기본으로 추천하는 오늘의 주제는 '카드 쪼개기'입니다. '카드 쪼개기'는 말 그대로 카드 1장을 '뽀각' 쪼개서 쓰라는 건 아니고,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여러 장을 목적별로 나눠서 쓰는 걸 말합니다. 카드 상품별로 실적에 따른 혜택이 다르잖아요. 월 지출액을 적절한 비율로 나눠 이 혜택을 모두 알뜰하게 챙기는 겁니다. 여기에..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11월 15일 개통 국세청은 2025년 초 연말정산 결과가 궁금한 근로자를 위해, 지난 15일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를 개통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말정산 미리 보기에서는 지난해 연말정산 결과와 올해 1∽9월 신용카드 사용액을 토대로, 내년 연말정산 예상 세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올해 연봉의 변동, 부양가족 공제 변경에 따른, 인적공제와 신용카드와 의료비 공제의 증감까지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공제와 감면에 대해 실수로 과다 공제하지 않도록 유의 사항과, 저축·지출계획을 조정해 절세 혜택을 최대화할 수 있는'꿀팁'도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국세청은 연말정산이 아직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개별 연말정산 이력과 내·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공제..

2023년 달라지는 개정세법 핵심 요약 기부금 · 교육비 · 연금계좌 · 월세 세액공제 신설 및 변경,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및 한도 변경, 일부 과세표준 구간 변경 등 ◆ 2023 연말정산 개요 성큼 다가온 겨울, 어느덧 연말정산을 준비할 때가 되었습니다. 연말정산은 근로자가 한 해 동안 발생한 소득과 지출을 정리하고 그에 따른 세금을 정산하는 과정으로, 간단히 말해 원천 징수한 세금이 많으면 돌려주고 적으면 더 내는 절차입니다.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관련 세법을 미리 알고 소비에 참고하면, 연말정산에서 절세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연말정산에서 적용되는 세법에 부분적인 변경 사항이 있어, 올해 연말정산부터 새로 적용되는 주요 개정세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 2023 연말정산 개정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