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소비 트렌드는 '불황형 소비'로 예상 물가가 오르는 속도를 월급 상승률이 따라잡지 못해, 직장인들의 '실질 구매력'이 줄어드는 중에 있습니다. 지난 2023년, 평균 근로소득(월급)은 한 해 2.8% 증가한 4,332만 원을 기록했는데,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는 3.6% 상승했습니다. 이 같은 상황은 최근 들어 더 심화하고 있습니다. 소득 증가세와 물가 오름세 사이의 격차는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크다고 합니다. ◆ 물가 상승 못 따라간 근로소득 근로소득의 증가율이 낮아지고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하락세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지난 30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 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최대 활용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이 계좌에 매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제공됩니다. 청년들이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해 청년도약계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123만 명이 가입한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가입 방법, 혜택, 중도해지 지원 사항 등 궁금한 내용을 10문 10 답으로 알려드립니다. Q1.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인가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축적과 경제적 자립을 돕고자 2023년 6월 출시된 금융상품입니다. 가입 요건을 충족하는 19~3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하여 5년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 중인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기준 중위 100% 이하 가구의 근로 청년은 본인 적립금 10만 원에 정부지원금 최대 30만 원을 매칭하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근로소득장려금과 추가 지원금을 더해서 만기에 돌려주는 형태인데, 이를 통해 청년들이 재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줍니다. 5월 1일부터 21일까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로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간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아직도 못 들어보신 건 아니겠죠? 어디선가 이름은 들어봤는데 이게 뭐더라 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금 더 자세하게 확인하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