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대학 진학률 격차 좌우하는 75%는 부모 경쟁력 요즘 방송매체에서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대 국가 미래전략원에서 한 발언이 연일 회자되고 있습니다. 그럼 한은 총재가 발표한 보고서 내용이 무엇인지 다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9월 2일, 한국은행에서 '입시경쟁 과열로 인한 사회문제와 대응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이 보고서 내용은 '상위 대학 진학률 격차 좌우하는 75%는 부모 경쟁력', '서울대 진학, 거주지 효과가 92%' 등과 같은 제목으로 각종 기사에 인용되며 화제가 되었습니다. 내용도 자극적이지만, 한국은행이 직접 나서서 연구 결과를 내놓고 또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대 국가 미래전략원까지 가서, 직접 '입시 문제가 국가 경제 문제의 핵심'이라는 직설적인 이야기를 해서 더욱 주목을 ..

채권 투자 초보자를 위해 알아야 할 금리의 종류 지난 시간에 채권의 신용위험과 신용등급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부도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채권이라면, 위험을 짊어진 보상으로 위험이 없는 채권보다 더 높은 금리를 받아야 합니다. 앞서 국채는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거의 없는 채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렇다면 국채금리는 대체 어떻게 결정되는 걸까요? 또, 회사채 금리는 국채보다 얼마나 더 높아야 적당한 걸까요? 이번 시간에는 모든 금리의 기준이 되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국채금리, 그리고 회사채 금리는 각각 무엇이고 또 어떻게 형성되는지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모든 것의 근본이 되는 기준금리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한국은행과 금융기관이 거래할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씀드리..

2024년 스태그플레이션 주의보 경제전망 발령 ◆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인데, 보통 경기가 안 좋으면 물가가 떨어지고, 경기가 좋으면 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스태그플레이션은 나쁜 점만 쏙쏙 골라서, 경기 안 좋은데 물가도 오르는 상황을 뜻합니다. 그런데 2024년에 전 세계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말이 솔솔 나오고 있습니다. ◆ 세계 경제가 10년간 스태그플레이션 지속될 것에 대한 경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해 '닥터 둠'으로 불리는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전 세계 경제가 향후 10년간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것이라며, 주식과 채권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