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 잘 준비해야 한다고 많이 듣긴 했는데, 살짝 거리감이 느껴지는 분들이 많으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은 연금의 핵심만 골라 정리한 것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 국민연금 내는데, 충분한 거 아니야? 대답은 NO입니다. 2021년 기준 1인 필요 적정 노후 생활비는 177만 3,000원, 부부는 277만 원입니다. 적정 생활비는 표준적인 생활하는 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따라서 국민연금만으로는 이에 턱없이 모자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40%로 정해져 있습니다. 일하는 동안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이라고 했을 때, 국민연금은 매월 8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 OECD 주요국 연금소득대체율(2023년 기준) 하지만 소득대체율 40%는 40년 동안 꾸준..

퇴직급여제도는 사업주가 퇴직근로자에게 일시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퇴직금은 30일분의 평균임금에 근무연수를 곱한 금액 이상이어야 합니다. 회사는 퇴직하는 구성원에게 계속 근로 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급여로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연금은 사용자가 납입할 부담금이 매년 근로자 연간 임금 총액의 1/12로 사전에 확정된 퇴직 연금제도입니다. 퇴직급여제도와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의 노후생활에 보탬을 주기 위한 중요한 법적 제도입니다. 퇴직급여제도에는 확정 급여형 퇴직연금, 확정 기여형 퇴직연금, 그리고 개인형 퇴직연금이 포함됩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사회초년생뿐만 아니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알아두어야 할 퇴직금제도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 퇴직금제도 vs 퇴직연금 흔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