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색찬란한 미식의 조화, 전주비빔밥

 

오색찬란한 미식의 조화, 전주비빔밥

비빔밥은 대다수 국민들이 사계절 언제나 즐길 수 있는 국민 음식입니다. 단, 비빔밥에 들어가는 채소가 맛있는 계절은 봄과 가을이다.

 

전주 곳곳에 전주비빔밥 전문점이 들어서 있는데, 전주의 대표 관광지 중 한 곳인 전주한옥마을 내에서도 비빔밥 전문 식당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전주한옥마을 전경

비빔밥은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진 다채로운 색감이 시선을 사로잡는 음식입니다. 고슬고슬한 흰쌀밥 위에 시금치, 고사리, 콩나물을 비롯한 다양한 나물과 달걀, 소고기 등을 올리고, 여기에 고추장과 참기름 등을 넣어 비벼 먹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전주비빔밥의 유래

 

전주비빔밥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전북 전주 일대는 예부터 비빔밥으로 유명했던 지역이지만, 전주비빔밥의 정확한 역사와 유래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궁중음식에서 비롯되어 서민들에게 전해졌다는 설도 있고, 제사를 지내고 남은 음식을 함께 비벼서 먹었던 것으로부터 비롯됐다는 설도 있습니다.

 

궁중음식

또 누군가는 고려시대 중기부터 사람들이 전주비빔밥을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고 하고, 누군가는 조선 후기 '시의전서'에 소개된 조리법이 시초라고도 합니다.

 

1945년 광복 직후에 개업했다는 '옴팡집'은 전주에서 유명한 한식집

1945년 광복 직후에 개업했다는 '옴팡집'은 전주에서 유명한 한식집이었는데, 조기찌개, 전어구이 등 갖가지 반찬과 함께 밥 대신 비빔밥을 내어주는 것으로 맛집이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옛 사진으로 본 전주한옥마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전주비빔밥 전문점은 한국집입니다. 1952년 떡집으로 문을 열었지만, 1953년부터는 비빔밥을 팔기 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전주 남부시장 야시장

당시 전주 남문시장에는 비빔밥을 만들어 파는 식당이 성행했는데, 한국집에서는 이 남문시장에서 파는 비빔밥을 고급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것이 오늘날 전주비빔밥의 원형인 것으로 여겨집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서울에 전주비빔밥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전국적으로 퍼져나갔고, 현재는 세계적으로 한식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굳건히 자리 잡았습니다.

 

◆ 전주비빔밥의 특징

 

야채 과일 등으로 채수를 내려고 준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밥을 지을 때는 물을 사용하지만 전주비빔밥은 사골로 육수를 내거나 콩나물로 채수를 내서 사용합니다. 이렇게 지은 밥은 풍미도 좋지만, 밥알이 서로 달라붙지 않아 채소와 함께 섞어도 뭉개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황포묵도 다른 지역의 비빔밥과 차별화되는 재료 중 하나

황포묵도 다른 지역의 비빔밥과 차별화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녹두로 청포묵을 만들 때 천연 색소인 노란색의 '치자'로 물들이면 황포묵이 되는데, 고운 색감의 황포묵이 올라간 전주비빔밥에서는 다른 여느 비빔밥에서 볼 수 없는 특별함과 고급스러움이 느껴집니다.

 

◆ 비빔밥에는 어떤 재료가 들어갈까?

 

비빔밥에는 콩나물,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애호박, 참나물, 표고버섯 등 다양한 나물류가 들어간다.

비빔밥에 들어가는 주재료를 꼽자면 먼저 나물을 들 수 있습니다. 비빔밥에는 콩나물,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애호박, 참나물, 표고버섯 등 다양한 나물류가 들어갑니다.

 

나물류는 재료 각각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조리법으로 조리해야 각각의 맛과 풍미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다.

나물류는 재료 각각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조리법으로 조리해야 각각의 맛과 풍미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콩나물은 살짝 투명해질 때까지 삶고, 애호박은 채를 썬 뒤 기름에 볶아서 준비합니다.

 

 

 

표고버섯은 삶은 후 참기름에 버무리거나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른 뒤 볶으면 됩니다. 참나물은 물에 불린 뒤 데치고, 다시 기름에 볶아서 준비합니다.

 

날 것의 소고기를 양념한 '육회'를 넣어 '육회비빔밥'을 만들어 먹어도 맛있다.

소고기 또한 비빔밥의 주된 재료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익힌 소고기를 넣지만, 날 것의 소고기를 양념한 '육회'를 넣어 '육회비빔밥'을 만들어 먹어도 맛있습니다.

 

참고로 비빔밥에 들어가는 육회는 당일 도축한 소고기를 먹기 좋게 썰고, 고추장과 마늘, 참기름 등으로 양념해서 만듭니다.

 

마지막으로 올라가는 재료는 달걀입니다. 보통 흰자는 지단 형태로 만들어서 넣고, 노른자는 날것을 그대로 사용하는데, 기호에 따라서는 기름에 부쳐서 달걀 프라이 형태로 올리기도 합니다.

 

◆ 전주비빔밥을 맛있게 먹는 법

 

전주에서 전주 비빔밥을 처음 먹어 본 일본 여친의 반응은?

마지막까지 모든 재료를 잘 비볐다면, 처음과는 사뭇 다른 모습의 비빔밥을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세요. 조화로운 재료들이 한데 어우러져 '맛'으로 구현되었을 테니 말입니다.

 

전주비빔밥은 모든 재료를 한 그릇에 조화롭게 담아 완성한 음식입니다. 비빔밥이 나오면 밥과 그 위에 얹은 재료를 한꺼번에 비벼서 먹으면 됩니다.

 

전주비빔밥 한상, 비빌 때는 보통 숟가락을 사용하며 젓가락을 사용해도 무방

비빌 때는 보통 숟가락을 사용하며 젓가락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숟가락은 그릇에 담긴 재료를 짓누르며 서로의 맛을 잘 섞이게 도와주며, 젓가락은 양념이 구석구석 섞이도록 돕습니다.

 

한 손에는 숟가락을, 다른 한 손에는 젓가락을 든 채 양손으로 비비면 더욱 잘 비벼집니다. 어느 정도 비빈 뒤 맛을 보고 싱겁다고 생각하면 고추장을 더 넣으면 됩니다.

 

◆ 식당 정보

 

1. 한국집

 

1952년 개업해 3대째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전주비빔밥 전문점

1952년 개업해 3대째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전주비빔밥 전문점입니다. 한옥을 식당으로 개조해 아름다운 마당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주한옥마을, 경기전 등 전주의 주요 관광지와도 가까워 뛰어난 입지를 자랑합니다.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어진길 119, 전화번호 : 063-284-2224

 

한국집 바로가기

 

2. 고궁 전주 본점

 

5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비빔밥 전문점

5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비빔밥 전문점입니다. 비빔밥이 담아 나오는 그릇을 놋그릇과 돌솥 중에 선택해 주문할 수 있으며, 전주비빔밥의 핵심 재료인 황포묵을 무침 요리로 만들어 판매합니다. 2층에 전주비빔밥의 역사를 설명해 놓은 전시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송천중앙로 33, 전화번호 : 063-251-3211

 

고궁 전주 본점 바로가기

 

3. 갑기회관 본점

 

30년 전통을 자랑하는 전주 비빔밥 명인의 집

7~8가지 약재를 우린 물로 밥을 짓는 '약용 비빔밥'이 대표 메뉴입니다. 약용 비빔밥에는 기본적인 비빔밥 재료 외에 밤, 대추와 같은 맛은 물론 몸에도 좋은 한약재가 함께 얹어져 나옵니다. 비빔밥에 넣는 고추장도 직접 담그는데, 사과와 배, 양파를 넣고 발효시켜 기분 좋은 달큼함이 느껴집니다.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상리로 50, 전화번호 : 063-212-5766

 

갑기회관 본점 바로가기

 

◆ 체험 정보

 

1. 김명옥 김치 비빔밥 체험관

 

김명옥 김치 전통음식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전통음식 체험장

김명옥 김치 전통음식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전통음식 체험장입니다. 전주비빔밥을 비롯해 김치, 전통 유과 등 전통음식을 만들어 볼 수 있으며, 인절미 떡메치기, 한복 입기, 도자기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합니다.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간납로 14-15

 

김명옥 김치 비빔밥 체험관 누리집

 

2. 청을 전통문화원

 

청을 전통문화원에서 전통문화생활을 체험하고 있는 모습

전주비빔밥, 인절미, 김치 등 한국 전통음식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과 전통문화생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22-6, 전화번호 : 063-232-6679

 

청을 전통문화원 바로가기

 

◆ 전주비빔밥 축제

 

전주비빔밥의 고장인 전주 지역에서 개최되는 비빔밥 축제

전주비빔밥의 고장인 전주 지역에서 개최되는 비빔밥 축제로, 초대형 비빔밥 만들기, 쿠킹클래스 등 전주의 독특한 음식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개최 장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451 전주종합경기장 일원, 개최 시기 : 매년 10월

 

전주비빔밥 축제 누리집

 

자료 제공 : 대한민국 구석구석 SNS,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