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동성(流動性) 공급주체와 동작원리 통화정책을 이야기할 시 유동성 확보에 대한 말들을 매스컴을 통해서 익히 들어었 것입니다. 오늘은 통화정책의 근간이 되는 유동성에 대하여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축은 굉장한 미덕입니다. 소비자 개개인에게 과소비를 권장하는 경제적 조언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조금 멀리 떨어져서 큰 그림을 바라보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모두가 한 푼도 쓰지 않는 나라는 곧 파산해 버릴 테니까요. 왜냐면 시장에 돈이 돌지 않아서, 누구도 돈을 못 벌게 되기 때문입니다. ◆ 유동성(Liquidity)이란? 만일 갑자기 돈 쓸 일 생겼는데 현금이 한 푼도 없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대처하겠습니까? 따라서 유동성이란 말이 나온 것입니다. 유동성(Liquidit..

주식, 채권의 고환율 투자 전략 쉽게 따라 하기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는 이상 앞으로 고환율 상황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고환율 상황은 수출 기업, 미국 주식 투자자에 도움을 주는 등 부정적인 면만 있다고 볼 순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선 '가상화폐' 등 변동성이 큰 상품보단 '미국 ETF' 등 안정적인 상품에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할 경우, 주요 대처방안 1. 긴축 통화정책 :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에서 금리를 인상하고, 통화 공급을 축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출 비용을 증가시키고, 경제 활동을 둔화시켜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합니다. 2. 재정 정책 조정 : 정부가 세금을 인상하거나 지출을 줄여 재정적 적자를 줄일 수..

2022년~2024년 상반기까지, 실질임금 3년 연속 하락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2022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2년 6개월간 실질임금은 연속 하락했다고 합니다. 실질임금은 물가 수준을 반영해, 내 월급이 실제로 얼마나 가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1998년 외환위기 직후와 2008~2009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하락한 적은 있지만, 이렇게 3년째 이어지는 것은 처음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계속해서 소비자물가가 크게 오른 데다 임금 상승률 자체가 낮은 탓이라고 합니다. 올해 2분기에는 근로자 임금 소득에 자영업자 사업소득과 기업의 이윤 등을 포함해 산출하는 국민총소득도 감소했습니다. 소득 감소는 소비 부진으로 이어져 내수 경기 침체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GDP 늘어도 실질임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