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년이면 국내 인구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 고령자에 해당하는 초고령 시대에 접어들 예정입니다. 따라서 '돌봄' 관련 사회적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인 간병의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수면 위로 올라오는가 하면, 정부와 여러 기관에선 노인 돌봄에 대한 다양한 지원 정책 개정 및 제정 준비 등에 나서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 고령화 속도는 유례없이 빠르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10월 발표 기준,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22년 65세 이상의 인구는 900만 명을 돌파했지만, 14세 이하 인구는 590만 명에 그쳤다고 합니다. 인구 성장세가 교차하던 2016년부터 65세 이상은 34% 증가했고, 14세 이하는 13% 감소했습니다. 인구 ..

돌봄 재정 왜 항상 부족하다고 할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돈이 필요하며, 집안에 누군가 아파 돌봄을 받아야 할 시에도 돈이 필요합니다. 이러할 진데, 정부입장에서의 돌봄의 영역도 결국 돈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겁니다. 돌봄 인력을 고용해도 돈이 들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인력을 고용하려면 많은 돈이 들며, 간병인 한 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를 줄이는 데에도, 돌봄 시설에서 재활 치료를 병행하는 데에도 돈이 드니까요. 돌봄 영역의 재정 부족에 기인하여, 지금까지 그 모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복합적인 돌봄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돈이 부족하기 때문이란 뜻이기도 합니다. 분명히 나는 지금까지 세금도 꼬박꼬박 잘 내고, 건강보험료도 적진 않게 내는 것 같은데. 나라에서 이런 중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