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관 망가진 나쁜 식습관, 중년부터라도 생활 습관 바꿔야 청년기를 지나 노년기에 접어들기 이전인 40대부터 60대 초반을 '중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중년(midlife)은 그 명칭처럼 인생의 중간이자 삶이 안정적 궤도에 올라 인생의 성취를 기대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 칼 융은 중년기를 인생의 전환점이자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는 시기라고 보았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밀턴 에릭슨도 중년기의 중요한 과업은 자신의 성취를 바탕으로, 미래세대를 인도하며 사회의 발전에 공헌하는 것이라 했습니다.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과는 달리. 요즘 우리 주변에는 중년에 들어서니 삶에 새로운 위기가 찾아왔다며 오히려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 가족 해체와 고립, 경제적 문제, 건강 문제 ..

2022년 사망원인 통계, 심장병이 2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위험한 병은 무엇일까요? 통상적으로 위험률에 대한 척도는 사망률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 결과'(2022년)에 따르면 1위는 역시 암이었습니다. 2위는 어떤 병일까요? 바로 심장병인데, 심장병은 급성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 심장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진 병입니다. 특히 건강을 자신하던 사람이 갑자기 쓰러지는 경우가 많아, 평소 내 몸을 살피는 세심함이 더더욱 필요하게 됩니다. ◆ 2022년 한해에 3만 3,715명이 심장 이상 사망 2022년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심장병으로 사망한 사람은 3만 3,715명(2022년)이나 됐습니다. 이는 전체 사망자 중 9%에 해당되는 수치입니다, 뇌혈관질환은 2만 5,420명(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