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수부, 겨울철 수산물'로 과메기와 복어 등 선정
과메기와 복어가 겨울철 수산물로, 거제 다대마을과 화성 궁평리마을이 어촌 여행지로, 낫돌고래가 해양생물로, 제부도항 방파제 등대가 등대로, 관탈도가 무인 도서로 선정됐습니다.
해양수산부는 '겨울철 수산물'로 과메기와 복어를 선정하고, 어촌 여행지로는 겨울철 고유의 매력을 간직한 경남 거제시 다대마을, 경기 화성시 궁평마을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해양생물은 낫돌고래, 등대는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제부도 항방파제 등대, 무인 도서는 제주시 추자면에 있는 관탈도를 선정했습니다.
과메기는 청어나 꽁치를 차가운 바닷바람으로 얼렸다 녹이기를 반복하며 건조해 만들어, 특유의 감칠맛과 향이 배어들어 겨울철 간식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과메기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좋으며 칼슘 함량이 높아 영양식으로도 적합합니다.
복어는 감칠맛이 뛰어나 고급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생선이며, 조선시대 의서인 동의보감에서 "허한 것을 보하고 습한 기운을 없애며 허리와 다리의 병을 치료한다"라고 기록하고 있을 만큼 영양도 풍부합니다.
다만,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맹독을 지니고 있어, 반드시 전문 자격을 갖춘 조리사가 요리해야 합니다. 겨울철 수산물인 과메기와 복어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자세한 정보는 '어식백세(100)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어촌 여행지로 겨울철 고유의 매력을 지닌 경남 거제시 다대마을과 경기 화성시 궁평마을을 뽑았습니다.
경남 거제시 다대 어촌 체험 휴양마을은 사계절 내내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는 갯벌이 있고, 마을 인근에는 바람의 언덕, 근포 땅굴, 해금강(우제봉) 등 많은 볼거리가 있어 다채로운 여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조개껍데기와 해안가 쓰레기 등을 재활용한 공예 체험 등 실내 체험도 할 수 있으며, 특히 따듯한 마을 펜션에서 한겨울 아침 바다의 일출을 볼 수 있어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 시작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경기 화성시 궁평리 어촌 체험 휴양마을은 수도권에 가까이 있어 평소에도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입니다. 수산물직판장에서 싱싱한 수산물을 구할 수 있고 낚시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곳의 해넘이는 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모습과 함께, 황금빛에서 점차 붉은색으로 변해가는 바다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조용한 어촌의 풍경을 연상케 합니다.
바다 쪽으로 뻗어 있는 데크를 따라 걸으며 바다와 속살을 드러내고 있는 갯벌을 감상한 뒤, 맛있는 수산물과 차 한 잔의 여유도 즐길 수 있습니다.
겨울철 어촌 여행지에 관한 자세한 관광 정보는 '바다 여행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해양생물로는 낫돌고래를 선정했습니다. 낫돌고래는 몸길이 최대 2.3m의 소형 고래류로, 등지느러미의 모양이 뒤로 휘어져 있고 흑회색과 흰색이 대조를 이룬 모습이 낫의 날과 같다고 해 낫돌고래라고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몸은 등 쪽이 흑회색, 배 쪽이 흰색을 띠고 있으며, 수백 마리 이상의 큰 집단을 이루어 다니면서 배 주변에서 뛰어오르거나 파도타기를 하는 등 활발하고 역동적인 유영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관심 대상(Least Concern, LC) 등급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겨울철에 연안으로 많이 접근해 혼획되는 빈도가 높아, 해수부는 지난해 2월부터 낫돌고래를 해양 보호 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북태평양의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멸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 등을 주식으로 한다고 합니다. 번식기에는 수십 마리 단위의 작은 무리로 나뉘어 활동합니다.
낫돌고래를 비롯한 다양한 해양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양 생명 자원통합 정보시스템'과 '해양환경정보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양환경정보포털
이와 함께, 등대로는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제부도항 방파제 등대를 선정했습니다. 이 등대는 2007년 설치되어 4초 간격으로 빨간색 불빛을 깜빡이며 제부도 주변을 오가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제부도항 방파제 등대는 제부도 북쪽 끝에 있으며, '제부도 빨간 등대'라고도 불립니다. 빨간 등탑은 푸른 바다와 대비를 이뤄 포토 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등대 뒤로 이어지는 다리 끝에는 바다 위 낚시터 피싱 피어가 조성돼 있어 낚시와 관광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등대가 있는 제부도는 하루 두 번, 바닷속에 잠겨 있던 길이 열리는 신비의 섬으로 물이 빠지면,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2.3㎞의 길이 드러나 차를 이용하거나 걸어서 섬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해상케이블카를 이용하면 물때를 맞추지 않아도 제부도에 들어갈 수 있으며, 바다 위에서 바닷길, 누에섬, 마리나 등 아름다운 서해안 경관을 볼 수 있습니다.
해수부는 이달의 등대를 방문하거나 의미가 있는 여행 후기를 작성한 여행자를 연말에 선정하여, 예쁜 등대 기념품과 50만 원 상당의 국민관광상품권을 증정한다고 합니다.
자세한 참여 방법 등은 '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의 '등대와 바다'에서 확인할 수 있고, 등대 주변 관광 정보는 '화성시 문화관광 누리집'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 밖에 무인 도서로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에 있는 관탈도(冠脫島)를 선정했습니다. 관탈도는 제주시 제주항에서 북쪽으로 27.5km, 추자도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져 있습니다.
섬은 고도 90m, 길이 300m, 면적 3만 5,615㎡이며, 중생대 백악기 화산 폭발로 형성된 응회암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회색빛을 띱니다.
관탈도는 조선시대에 유배지인 제주로 가던 길목에 있어 이 섬을 지나 한라산이 보이면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접고, 쓰고 있던 갓을 벗었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관탈도 섬 정상부 등대 주변으로 억새와 밀사초 군락이 서식하고 바위틈에서 한국 고유종인 홍도원추리도 발견됐습니다.특히 관탈도는 내륙에서 보기 드문 매, 슴새, 검은 이마직박구리의 번식지이자 제주 권역 내 바다제비 최대 번식지입니다.
바닷속에는 수지맨드라미류, 해송, 둔한진 총 산호 등 12종의 산호와 청각, 부챗말 등 해조류 59종이 해중림을 이루고 있습니다.
관탈도를 포함한 무인 도서 정보는 해양수산부 '무인 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에서, 인근 관광 정보는 '비짓 제주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제공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여행,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속 멋진 폭포들 탐방 (0) | 2025.02.09 |
---|---|
서해 최북단 국가지질공원 대청도를 찾다. (2) | 2025.01.31 |
2025년 2월 지역 축제·행사 개최 (0) | 2025.01.28 |
설 연휴 강원도 속초 겨울 여행 1박 2일 (2) | 2025.01.26 |
설 연휴 눈 얼음의 향연 겨울 축제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