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

2025년 전기 이륜차 2만 대 보급

쏭강 누리집 2025. 3. 18. 16:38
반응형

전기 이륜차  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 지급

 

 

환경부가 올해 전기 이륜차 2만 대 보급을 목표로 구매보조금 총 160억 원을 지급하고,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에도 500기 설치 지원을 목표로 총 5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특히 전기 이륜차 이용의 주요 불편 사항으로 제기됐던 충전 속도를 개선한 차량에는 차량 규모별 보조금 한도 내에서 최대 10만 원의 보조금을 추가 지원합니다.

 

소유주가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와 이용자 앱 등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에도 최대 10만 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소유주가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와 이용자 앱 등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차량에도 최대 10만 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원

환경부는 지난 1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5년 전기 이륜차 보급 사업 보조금 업무 처리 지침' 및 '2025년 전기 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운영 지침'을 확정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전기이륜차 시장은 배달업 증가와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대기오염 저감과 도심지 생활소음 측면에서 내연기관 대비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연비, 배터리 용량, 등판능력 등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보다 많은 보조금 지급

이에 환경부는 전기 이륜차 보조금 지침에 따라 연비, 배터리 용량, 등판능력 등 성능이 우수한 차량에 보다 많은 보조금이 지급되도록 해 국내 보급되는 전기 이륜차의 성능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기 이륜차 지침 및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지침은 정책 일관성은 유지하면서 배터리 구독형 서비스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교환형 배터리·충전시설 표준화 및 지원 확대,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차량 우대 등 일부 사항을 개선했습니다.

 

 

 

◆ 주요 개정 내용

 

▶ 교환형 배터리 및 충전시설의 표준화를 유도

 

친환경 전기 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교환형 배터리팩과 충전시설은 2023년 국가표준(KS표준)이 제정됐음에도 제작사별로 다른 배터리팩을 적용하고 있어, 상호 교환 사용(로밍) 하지 못하고 특정 충전시설만을 이용해야 하는 등 불편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국가표준에 해당하지 않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에는 설치비용을 미지원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와 이용 비효율을 줄입니다.

 

▶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지원 확대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 지원 확대

배터리 교환형 전기 이륜차는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격이 빠지므로 성능에 따라 산정한 보조금의 60%를 지급했으나, 올해부터는 70%를 지급해 지원을 확대하기로 한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배터리를 직접 교체할 수 있어야 하는 교환형 특성상 배터리 용량을 높이기가 어려워 성능에 따른 보조금을 차등해 지급할 경우 불리하다는 의견 등을 반영한 조치입니다.

 

특히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과 이용자에게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을 우대할 방침입니다. 이 밖에도 보조금 산정 시 고정값을 활용하도록 해 업계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기술개발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충전 속도가 빠른 차량과 이용자에게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을 우대할 방침

이는 중·장기적 기술 투자를 위한 산정 방식 단순화 등 업계 건의를 고려한 것으로, 기존 보급 대상 차량의 평균 성능 등 변동값이었던 연비 및 등판 계수를 올해부터는 고정값으로 변경해 예측 및 대비가 쉽게 했습니다.

 

한편 이번에 확정한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침 및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지침은 지난 17일부터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https://ev.or.kr/nportal/main.do)에 게재합니다.

 

 

 

전기 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보급 사업은 함께 게재되어 있는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공모 지침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며, 오는 4월 중 공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도심지 내 대기질 개선과 생활 소음 저감에 강점이 있는 전기 이륜차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라며 "업계의 기술혁신을 이끌어내고 배터리 교환형 등 소비자 선택의 폭을 늘려 한층 편리하고 경쟁력 있는 전기 이륜차를 보급하도록 지원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