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0일부터 '정부24' 전면 개편
복지로·고용 24 등 인증 없이 이용 가능
앞으로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던 정부 서비스를 한 곳에서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행정안전부는 대한민국 대표 포털 '정부 24'를 7월 10일부터 '정부 24+(플러스)'로 전면 개편, 복지로와 고용 24 등도 별도 인증 없이 이용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정부 24+ 모바일 앱에서는 발급한 민원서류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되는 등 정부 서비스 이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정부 24+는 지난 4월 시범개통을 거쳐 서비스 안정화 작업을 진행한 바, 지난 10일부터 본격 개통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먼저 정부 24+에서 한 번만 로그인하면 복지로와 고용 24 등 여러 기관의 서비스를 별도의 추가 인증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령 기존에는 정부 24에서 관련 서비스를 찾으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로 단순 연결하는 기능만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정부 24+에서 로그인 후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신청을 위해 복지로 누리집으로 이동하면 추가 인증 없이 서비스 신청이 가능합니다.
또한 개별 행정기관에서 제공하던 국세 납부내역조회(국세청), 건강검진 결과 조회(보건복지부) 등은 정부 24+에서 각 누리집 이동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 24+ 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
이에 국민이 정부의 각종 서비스를 신청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될 것으로 봅니다. 오는 14일부터 개편해 서비스를 시작하는 모바일 앱도 사용자 불편 사항이 크게 해소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먼저 기존 정부 24 모바일 앱은 서류 다운로드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으나, 앞으로는 발급받은 민원서류를 스마트폰에 비밀번호가 설정된 파일 형태로 내려받기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만을 활용해야 했던 생체인증 등록 절차도 간소화해 생체인증 방식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그동안 민간 앱에서만 서비스했던 혜택 알리미 서비스 역시 정부 24+에서도 국민비서를 통해 혜택 알림을 받도록 신청·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 24+에는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도입해 접속 지연이나 서비스 중단이 없는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했습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번 정부 24+는 누리집마다 인증할 필요 없이 각종 정부 서비스를 한 곳에서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라면서 "AI 기반 지능형 검색을 도입하는 등 국민의 눈높이에 맞도록 디지털 정부 서비스를 지속해서 개선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자료 제공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