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미 증시 전망
'버블론' 미국 증시 vs. '바닥론' 한국 증시, 2025년 증시 전망은?
제 글을 읽는 방문객 중에서도, 최근 2년 동안 미국 증시가 치솟으면서 미국 주식 투자에 뛰어든 '서학개미*' 방문객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 서학개미 : 국내 주식을 사 모으는 '동학개미'에 빗대어 미국 등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를 일컫는 말.
최근에는 미국 증시가 힘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서학개미들이 잔뜩 투자한 테슬라·엔비디아 등의 하락 폭이 크다고 합니다.
반면 국내 증시는 쭉쭉 오르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최근의 증시 전망과 2025년 한·미 증시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학개미들이 잔뜩 투자한 테슬라·엔비디아 등의 하락 폭이 크다.
▶ 나스닥 4 거래일째 하락, 양자 컴퓨팅 주 또 급락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가 4 거래일 연속 하락 세를 이어갔습니다. 국채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기술주들이 여전히 약세를 보인 탓입니다. 반면 다우지수와 S&P500은 소폭 오르는 등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6% 오른 4만 2,297.1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장막 판 상승 반전해, 0.16% 오른 5,836.2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반면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38% 내린 1만 9,088.10에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경제가 빠른 회복력을 보이고,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감세 조치가 임박함에 따라 국채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머물면서 주가가 힘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오후 4시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1.4bp(1bp=0.01% 포인트) 오른 4.788%를 기록 중입니다. 약 14개월 래 최고치입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0.4bp 빠진 4.392%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국의 금리가 장기적으로 점차 오를 것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 우리나라 증시는 상승
우리나라 증시는 미국 증시와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코스닥&코스피 지수가 각각 주요국 증시 중 상승률 1·2위에 올랐습니다.
▶ 국내 증시가 잘 나가는 이유?
① 국장은 바겐 세일 중
지난해 미국·일본 등의 증시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하지만 코스피는 10% 가까이, 코스닥은 20% 넘게 내리면서 이 상승세에 올라타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너무 낮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러자 올해 "한국 주식 정말 싸다!"라고 하며 투자자들이 국내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 2024년 글로벌 증시 '훨훨', 코스피는 9.6% 하락 마무리
미국·일본을 비롯한 주요국 주가지수가 올해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인 것과 달리, 국내 증시는 이러한 흐름에서 소외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스피는 올해 10% 가까이 하락하며 2,400선을 내줬고, 올해 14% 넘게 오른 원/달러 환율도 국내 경제에 불안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코스피, 아시아 주가지수 중 79위, 삼성전자·TSMC 희비도 엇갈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코스피는, 2024년 마지막 거래일인 30일에 전장 대비 5.28(0.22%) 하락한 2,399.49로 장을 마감해 2,400을 하회했습니다. 코스피는 9.63% 떨어졌고 중소형주 위주인 코스닥 하락률은 21.74%에 이른다고 합니다.
코스피는 7월까지만 해도 인공지능(AI) 붐에 따른 반도체주 강세 등에 힘입어 2,900에 근접했지만, 이후 국내 경제에 대한 우려와 정치적 혼란 등이 겹치면서 종가 기준으로 연고점 대비 17% 떨어졌습니다.
한국 정부의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공약도 수출 중심인 한국 경제에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② 돌아온 외국인 투자자
외국인 투자자들이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다시 국내 주식을 사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주식을 내다 팔았는데, 올해 들어 지난 10일까지 코스피에서 1조 5,490억 원어치 주식을 사들었다고 합니다.
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로 구성된 KRX 반도체 지수상승을 크게 견인했다고 합니다.
* 새해 첫 주 '진격의 K 증시', 상승률 주요국 1위 일등 공신은?
2025년 첫 일주일 동안 주요국 증시 가운데, 한국 증시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세계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냈습니다.
외국인이 대형 반도체 종목 순매수에 나서면서 주가 상승과 지수 회복을 이끌며, 지난해 연간 흐름과 대비되는 초반 랠리를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지난 9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올해 주요국 증시의 연초 누계 대비 증감률을 비교한 결과 한국의 코스닥과 코스피가 각각 6.68%, 5.1%로 1위와 2위에 올랐습니다.
이날도 코스피가 전일 대비 0.03% 오른 2,521.90, 코스닥이 0.54% 오른 723.52로 장을 마무리하며, 코스피는 5 거래일, 코스닥은 7 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③ 킹달러, 오히려 좋아
원/달러 환율이 1,460원대에 달하는 고환율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분석입니다. 달러로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작년보다 20% 이상 저렴하게 한국 주식을 살 수 있는 기회*가 됐기 때문입니다.
* 2025년 한국 증시, 가격 매력과 위험이 팽팽하게 대치
새해 들어 며칠간 한국 증시가 반가운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피는 불과 5 거래일 만에 5% 이상, 코스닥 지수는 6% 이상 올라 주요국 주가 상승률을 크게 앞지르고 있습니다.
연초 주가 상승의 주된 이유는 무엇보다 '가격 매력'입니다. 작년 하반기 내내 부진한 가격 흐름을 보이며, 최근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이익비율(PER)과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각각 8.2배, 0.87배 정도입니다.
게다가 원화 값마저 급락한 상태입니다. 달러 자금으로 투자하는 외국인으로선 한국 주식은 작년 중반 대비 20% 이상 쌉니다. 연초 포트폴리오 비중 조절에 나선 일부 외국인의 매수세가 나타날 법합니다.
▶ 코스닥&코스피, 지금 사면되는 거야?
최근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한 데도 오히려 주가가 오르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자 "국내 증시 이제 바닥 찍고 반등할 거야!"라고 하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주가 상승을 방해하는 요소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합니다.
① 정치적 혼란 ing
12·3 비상계엄 사태로 시작된 정치 불안이 탄핵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주가도 크게 출렁였습니다. 아직 정국이 안정되지 않아서 앞으로도 주가가 휘청할 여지가 있습니다.
기업들이 주요 결정을 미루고 있고, 소비 심리도 얼어붙어 기업들의 실적이 좋지 않을 거라는 예상도 투자자 심리 중에 있습니다.
② 눈앞으로 다가온 트럼프 행정부
오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합니다. 트럼프는 취임 첫날부터 관세 인상 등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예고하면서 전 세계를 뒤흔들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불확실한 상황이 이어질 거는 걱정이 나오고 있습니다.
◆ 올해 미국 증시 전망은 어떨까?
▶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 분분
① 2025년에도 쭉쭉 오를 거야
미국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경제 지표들이 양호하다고 합니다. 이에 "올해도 오를 거야"라는 낙관론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정책이 미국 주식 시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② 2025년에는 주저앉을 수도 있어
올해는 미국 증시가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비관론도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지난 2년간 미국 증시가 역대급으로 올랐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미국 증시는 평균적으로 2년에 한 번씩 큰 폭으로 하락하는 조정 시기를 겪었다는 것입니다. 워런 버핏이 투자하던 주식을 팔고, 현금을 잔뜩 들고 있다는 사실도 비관론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버핏도 폭락에 대비하고 있는 거야!"라고 말입니다.
자료 제공 : 뉴닉
※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자세히 알고 싶다면?
☛ 2024 미국 대선 결과 총정리, '한국 경제 영향' 보러 가기
※ 미국 주식 투자, 어떻게 하면 되는 건지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