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고공행진, '금테크'의 재발견
'김치 프리미엄' 붙은 금값, 어디까지 올라가는가요?
최근 금값이 크게 오르며 시중은행의 골드바와 금 통장 판매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달 1~13일 시중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골드바 판매량은 약 40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액의 20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 '불안할 땐 금·은이 최고', 골드바·골드뱅킹 사상 최대
국내는 탄핵정국에, 세계는 경제 불확실성 고조에 따라, 골드바와 골드뱅킹 판매가 나란히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불안심리로 안전자산 수요가 높아지면서 금 가격이 최고치를 경신했고, 국내에서도 실물 금뿐 아니라 금 통장, 금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 '포모'(FOMO)란?
골드바 품귀현상이 오히려 골드바 판매를 더 늘리는 '포모'(FOMO: 유행에 뒤처지는 두려움) 조짐도 나타났습니다.
지난 16일 5대 은행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이들 은행들의 이번 달 1~13일 골드바 판매액은 총 406억 345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월 동기 판매액(135억 4,867만 원)의 3배, 전년 동기 판매액(20억 1,823만 원)의 20배에 달합니다.
5대 은행의 하루 골드바 판매액은 이달 3일만 해도 20억 원 수준이었으나, 5일 40억 원에 육박했고, 7일 5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관세 인상을 예고한 영향으로 국제 금 가격이 가파르게 치솟은 시점과 맞물렸습니다.
골드바 주요 공급처인 한국조폐공사가, 은행들에 골드바 공급을 잠정 중단하기로 한 사실이 알려진 지난 12일 이후 판매액은 더욱 늘었습니다. 5대 은행 판매액은 지난 11일 49억 8,007만 원이었는데 13일에는 100억(108억 3,217만 원)을 넘겼습니다.
KB국민은행이 지난 12일부터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면서, 신한은행과 NH농협은행 판매액은 11일보다 각각 2배가량 늘어나는 풍선효과도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 구입한 소비자는 골드바 배송까지 최소 2주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금 관련 대체 상품에도 관심이 쏠렸습니다. 골드뱅킹을 취급하는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지난 13일 기준 골드뱅킹 잔액은 총 8,969억 원으로 집계돼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3개 은행 잔액이 9,000억 원에 육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최근 금 가격 상승과 맞물려 우상향 조짐을 보이는 은도 투자 상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월 1~13일 실버바 판매액은 총 5억 2,889만 원으로, 이미 전월 동기(3,422만 원)의 15배를 넘겼습니다. 그러나 하나은행은 실버바를 팔지 않는다고 합니다.
실버바 역시 골드바처럼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KB국민은행은 지난 17일 실버바 판매도 중단했으며, 신한·우리은행은 지난 14일부터 실버바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한국조폐공사가 골드바 공급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힌 후, 지난 13일 하루에만 108억 원에 달하는 실물 금이 판매됐습니다. 금 통장 잔액도 역대 최대치인 8,969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금값이 최고치를 갈아치우게 된 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의 관심이 안전자산인 금에 몰린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금은 해외보다 더 비싸게 거래되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12.3 내란 사태의 여파로 국내 정치 불안과 원화 가치 하락이 더해져 단기간에 수요가 더 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이에 처음으로 국내·국제 시세 차이가 20% 이상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금값이 짧은 기간에 큰 폭으로 오른 만큼 단기 시세 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보단, 장기적인 분산 투자 용도로 접근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 알 수 없는 금값 고공행진? '금테크'의 재발견
요즘 금값은 말 그대로 미쳤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이후 쭉쭉 오르던 금값은 지난 4월 1g당 11만 원을 넘어섰고, 지금까지도 10만 원 선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금값 왜 오르는 거야?"하는 말이 나온다는데, 금값이 그동안의 공식을 깨고 오르고 있었습니다.
원래 금값은 금리(이자율)나 달러 가치가 내려가야 반대로 오르는 게 공식이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은 은행에 돈을 넣어놔도 큰 이득을 못 얻기 때문에, "이럴 바에야 금을 사두지"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달러 가치가 내려가면 두 가지 이유로 금값이 오릅니다. 금 선물은 달러로 거래하기 때문에 미국 이외 국가에선 상대적으로 금이 저렴한 셈이 돼 금을 많이 사고, 미국의 경우 달러보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을 더 찾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금리가 최근 2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데다 '킹달러 현상'이 길어지는 데도 금값이 오르고 있으니, '금값 미스터리'라는 말이 나오는 것입니다.
이 미스터리의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분석이 나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이어지며 안전자산인 금의 인기가 높아졌습니다.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은 나라들이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을 많이 사들인 데다,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꺼지지 않았고, '금테크'가 다시 유행으로 떠오르며 투자자들이 계속해서 모여들고 있기 때문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자료 제공 : 뉴닉